본문 바로가기

웃음프로젝트의 하루/영화를 보면서

영화 제목에 관하여

<말아톤>의 영어 제목은 무엇일까?

최근에 영화 <말아톤>을 보면서 뜬금없이 이런 생각이 들었다. '<말아톤>이 해외 시장에 나갈 때는 이름을 어떻게 하지?' 설마 'mar-a-thon'? 한 초등학생에게서 아이디어를 얻어 붙였다는 <말아톤>은 영화의 핵심을 기막히게 표현했다는 생각이 들게 했다. 하지만 영어 제목은 그냥 'marathon'이었다. '말아톤'이라는 말이 주는 어린아이의 재기발랄함이 사라져 아쉽기는 하지만 딱히 다르게 표현하기도 어렵겠다는 생각이 든다.

영화 홍보의 핵심은 단연 제목이다. 카피보다도 더 짧은 한마디로 관객들의 호기심을 유발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해외 시장에 진출할 때는 그곳의 문화까지 고려해 적절하게 수정하기도 한다. 그렇게 바뀐 이름은 영화를 살리기도 하고 혹은 원제보다 영화의 느낌을 축소시키기도 한다.

홍상수 감독의 대표작 <오! 수정>의 영어 제목은 'The virgin stripped bare by her bachelors'다. '그녀의 남자들로부터 발가벗겨진 처녀?' 한국어 제목보다 영화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긴 했지만 제목이 길고 약간은 생뚱맞다.

최근 각종 국제 영화제에서 좋은 소식이 들려오는 이윤기 감독의 <여자, 정혜>는 'the charming girl'로 번역되었다.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전혀 'charming'하지 않은 정혜를 역설적으로 표현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지의 일각에서는 제목이 로맨틱 코미디의 느낌을 주어 영화를 오해할 소지가 있다고 평했다고 한다.

또 김기덕 감독의 최근작 <빈 집>의 영어제목은 '3-iron'. 영화에 쓰였던 소재인 골프채 이름이다. 원래 이 제목이었는데 국내에 개봉할 때 <빈 집>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무미건조한 이름인 '3-iron'보다 '빈 집'이라는 제목이 훨씬 더 영화의 서정성과 주제 의식을 잘 드러낸다.

한편 박찬옥 감독의 <질투는 나의 힘>을 영어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 Jealousy is my power? 대부분 이렇게 생각하겠지만 이 영화의 영어 제목은 'Jealousy is my middle name'이다. 원래 이 영화의 제목은 기형도 시인의 <질투는 나의 힘>이라는 시의 제목을 차용했는데 이 시가 가지는 무겁고 우울한 느낌이 사라지고 경쾌하게 바뀌었다.

이밖에도 <효자동 이발사>는 'president's barber'로, <태극기 휘날리며>는 'TaeGukGi: The Brotherhood of War', <복수는 나의 것>은 'Sympathy for Mr. Vengeance', <달콤한 인생>은 'The Bittersweet Life'로 각각 변했다.

외화의 한국어 제목, 한국영화의 영어 제목을 비교해서 보면 영화 홍보의 초점이 어떻게 옮겨졌는지, 혹은 두 문화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 지 살짝 엿볼 수 있어 또다른 재미가 생길 것 같다. -이경미(pasodoble)- 


영화 제목의 '화려한' 변신
 
내가 중학교에 다닐 때 영화 <시스터 액트(sister act)>를 ‘누나의 행위’로 번역해 친구들에게 소개하는 농담이 유행했다. 제목만 보고 묘한 상상을 했다가 ‘시스터 액트’라는 말에 뒤통수를 맞게 되는 것이었다.

단어의 작은 번역 하나가 텍스트 전체의 이미지를 바꾸기도 하므로 번역을 할 때에는 신중하게 해야 한다. 하지만 영화가 수출이나 수입이 될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제목을 바꾸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전에는 대개 영화 제목을 한국어로 바꾸어 개봉을 했지만 요즘에는 원제를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코미디 영화에서는 여전히 한국어 제목을 다는 영화들이 많다. 아마도 제목이나 기발한 카피가 관객들을 극장으로 끌어들이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코미디 영화의 특수성 때문일 것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미녀삼총사>. 원제는 'Charlie's Angels'이다. 한번 비교해보자. 원제는 우선 정보 측면에서 한국어 제목을 따라오지 못한다. ‘미녀삼총사’라는 말을 듣고 우리는 충분히 미녀가 한꺼번에 세 명이나 나오고 이들이 똘똘 뭉쳐 뭔가 근사한 일을 해낼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다. 만약 제목이 ‘찰리의 천사들’이었다면? 내 머릿속엔 자꾸 천사들의 합창이 떠오른다.

같은 맥락으로 <피너츠 송>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마치 원제를 그대로 쓴 것 같다. 하지만 이 영화의 원제는 'The sweetest thing'이다. ‘더 스위티스트 씽’이라 하기도 그렇고 ‘가장 달콤한 것’이라 하기에도 2% 부족하다. 그래서 선택된 이름이 <피너츠 송>. 영화가 섹스코미디인 점을 감안할 때 원제보다 한국어 제목이 영화의 특성을 훨씬 더 노골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이런 제목의 번역이 언제나 좋은 결과만을 가져다주지는 않는다. 잘못 번역된 대표적인 사례로는 'Girl, interrupted'란 영화를 들 수 있다. 위노나 라이더와 안젤리나 졸리가 출연한 영화로 정신병동에서 만난 두 소녀의 우정을 다룬 이야기인데 안젤리나 졸리는 이 영화로 2000년 골든 글로브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 영화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만나는 자유>라는 이름으로 개봉되었다. 당시 모 통신사의 광고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는데 그 카피를 그대로 차용한 것이었다. 이런 안이한 번역으로 인해 영화는 마치 무슨 아류작 같은 느낌을 풍기게 했고 이것이 흥행을 떨어뜨린 직접적인 요소는 아니었겠지만 확실히 영화의 가치를 떨어뜨리기는 했다.

이처럼 영화는 국경을 넘나들면서 그 시장에 맞게끔 위트 있게, 혹은 멍청하게 바뀌기도 한다. 앞으로 외화를 볼 때 원제를 직접 찾아 비교를 해보는 것도 쏠쏠한 재미가 있을 것 같다.  -    이경미(pasodoble)  -

'웃음프로젝트의 하루 > 영화를 보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 슈프리머시  (0) 2009.04.30
본 아이덴티티  (0) 2009.04.30
아이언 맨  (0) 2009.04.30
슬럼독 밀리어네어  (0) 2009.04.30
인생은 아름다워  (0) 2009.04.30